일상/세미나

북유럽 게임 세미나 후기

HyeunJae 2021. 6. 21. 01:45

북유렵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포트폴리오, 이력서와 같은 준비과정이나,
커리어 패스에 대해서 설명해주셨고, 각 직군별 소개와 프로젝트 제작 프로세스, 분야별 공부 방향 등을 알려주셨다.

 

북유럽 세미나

직무 구성과 필요한 스킬

STAFF

지원조직 : 조직 및 사업 관리에 필요한 모든 것을 지원

  • HR
    • 채용/인력 관리
    • 교육
  • Finance
    • 재무/회계
  • IR/마케팅
    • Investor relation
    • 홍보
  • Legal
    • 법무
    • 특허

Business

사업조직 : 시장 반응에 따른 서비스 기획, 요구사항 정의

  • 서비스 사업
    • 서비스 운영
    • 이벤트, 프로모션 기획
  • 사업 전략
    • 비즈니스 모델 분석
    • 로컬라이징
  • GM
    • 게임 운영
    • 커뮤니티 관리

학습 링크 : [Online Games: Literature, New Media, and Narrative | Coursera](https://www.coursera.org/learn/interactive-media-gaming#syllabus)

Platform

플랫폼 조직 : 서비스들의 공통 기술 영역을 개발, 엔지니어링 & 퍼블리싱

  • 데이터
    • 데이터 엔지니어링
    • 사용자 데이터 분석(A / B)
    • ML
  • 플랫폼
    • 인프라 시스템 (데이터 센터, 클라우드)
    • 웹 플랫폼 개발 (커뮤니티, 채팅)
    • SDK 관리 (인증, 스토어 빌링 연동)
  • IT,보안
    • 게임 보안
      • RED / BLUE
    • 데이터 보안
      • ISMS, ISO
    • 사내 시스템 개발
  • QA,IcM
    • 게임 QA
    • 서비스 모니터링, 보안 관제
    • 장애 관리

학습 링크 :

Develop

개발조직 : 게임 기능 및 컨텐츠 개발

  • 기획, PM, 프로듀서, 디렉터
    • 레벨 디자인
    • 시스템 디자인
    • 밸런스 스토리
    • monetization
    • UI/UX
    • 게임 프로덕트 관리 (앱 심사 등)
  • 서버, 클라
    • 서버 새발
      • 게임 플레이
      • 네트워크
      • DB
      • OS
    • 클라이언트 개발
      • 게임 플레이
      • UI
  • 아트
    • 캐릭터 원화
    • 배경 원화
    • TA
    • UI/UX
    • 모델링 (3D, 2D)
    • 캐릭터
    • 배경
    • 프랍(사물)
    • 애니메이션
    • VFX
  • 엔진
    • 세이더
    • 물리엔진
    • 그래픽 엔진
    • AI 엔진
    • 각종 툴
  • 오디오
    • 배경 음악
    • 효과음
    • 오디오 연동

학습 링크 :

게임 개발 과정

  1. 프리 프로덕션 : 게임 초기 기획 단계이다
    • 게임 컨섭
    • 게임 디자인
    • 프로젝트 플랜
    • 테크니컬 디자인
    • 아트 스타일 확립
    • 게임 플레이 프로토 타이핑
  2. 프로덕션 (매스 프로덕션) : 개발 인력이 기장 필요하며, 이때가 가장 활발하다
    • 레벨 디자인
    • 모델링
    • 게임 모듈 개발
  3. 릴리즈 : 게임의 윤곽이 완성되어 테스트 및 마케팅을 진행한다
    • 알파 / 베타 릴리즈 및 데스팅
    • 마케팅과 광고
    • 폴리싱
    • 버그 픽스
  4. 포스트 프로덕션 (서비스) : 게임을 완성하여 납품할 시기
    • 버그 픽스
    • DLC 및 패치

개발 -> 리뷰 -> 폴리싱 -> 최적화 -> 개발 -> ∞

커리어 패스

링크 : [miloyip/game-programmer: A Study Path for Game Programmer (github.com)](https://github.com/miloyip/game-programmer)

 

  • OS에 대한 책은 인터뷰에도 많이 나옴

 

 

  • C++ 창시자가 제작한 책

 

Lua는 선택이다.

 

요즘은 C#으로 서버도 만듦 윈도우를 위한 것들을 제작할 때 C# 쓰면 도움됨

  • C#의 코어에 대해서 설명된 

 

  • 필수 C++ 세가지 책 모두 번역되었기 때문에 도서관이나 구매해서 읽는 것을 권장

  • 빨간색 책이 인터뷰에 많이 나오고 성능 관련해서 많이 나온다.

  • STL

  • 대작게임을 만들고 싶다면 추천

  • 게임 프로그래밍 패턴들 (추천)

  • 게임 프로그래밍 논문

국내 취업 노하우

  • 플랫폼 쪽은 굳이 게임회사가 아니여도 다른곳들 이직 가능
  • 나와 맞는 직군과 회사 고를 것
  • 서버 필수 지식들
    • 리눅스에 대한 네트워킹, 자료구조, 알고리즘, DB, HTTP Protocol 등등
  • 대학원 vs 중견 게임 회사 vs 다른 IT 업종
  • 그리고 있는 Path가 있다면 대학원
  • NC에는 석사학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았음 (3분에 1정도)
  • 앞으로 게속 대학원생이 취직이 늘어날 전망
    • 하지만 충분한 실력과 포폴이 가지고 있으면, 명문대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중소기업이라고 가능
    • 서버 프로그래머는 일반IT기업에서 이동하기도 쉽다.
  • NC에서는 프리 프로덕션과 프로덕션이 겹치는 경우가 많았음
  • 확실하게 가면 대학원
  • 실무경험이나 알아서 잘한다면 작은 회사
  • 현업에서 일했다가 대학원 갔다고 다시 오는 경우도 있음
  • 게임 프로그래머는 확실하게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 함
    • 이게 가장 큰 성공의 비결
    • 포폴은 완성된 게임을 의미
    • 시작부터 끝까지 (싱글도 가능)
    • 게임 플레이 적인 요소들이 게임 안에 들어있으면 좋음
    • 협업이 있으면 좋음
    • 협업을 통해 어떤 트러블이 있었고 어떻게 해결을 했다..
    • 간단하게 데모 게임을 만들어보는 것이 중요

해외취업 노하우

  • 한국 규모가 유럽 하나와 비교할 정도로 라이엇에서 모니터링을 한다고 한다.
  • 게임회사에 근무했다고 어필을 하고 해외가 가면 도움됨
  • 영어 공부는 일대일 영어(파고다)를 통해 배웠음
    • 게임 아이티 뉴스 등 커리큘럼을 해당 직군의 산업군에대해서 논리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잘 설명할 수 있으면 됨 내가 생각하는 것을 잘 말하고 설득하는 정도
  • 영어를 논리적으로 말하는 연습을 할 것
  • 인터뷰 또한 내가 일어났던 일이나 해결했던 것등을 영어로 잘 정리했었음
  • 파고다에서 토익과정을 들었음
  • 영어 문법에 대해서 따로 배웠음
    • 게속 공부해야됨.

국내 회사와 해외 회사

  • 멀티쪽은 북미나 유럽
  • 게임 인더스트리에 대한 경험이 있다면 해외 취업
  • 국내에서 경험을 쌓아서 각 국가에 따라서 비자 상황을 보고 갔으면 좋겠음
  • 3 ~ 5 년 정도 경험을 쌓다가 해외로 나가는 것도 나쁘진 않을 듯
  • 먼저 전문지식을 쌓고 해외로 나가는게 더 좋을 것 같음
  • 북유럽 회사의 좋은 점
    • 워라벨은 챙겨줌
  • 한국 회사의 좋은 점
    • 점심밥을 준다

한국은 포스트 프로덕션이나 게임이 드랍된다고 팀이 사라지는 경우는 없었다고 한다. 한국은 가족(?)같은 분위기

해외에서는 프로젝트 드랍시 인력 단축이 있는듯 해외에서는 실력없으면 해고가 잦음 본인의 실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회사 해외에서는 트래픽같은게 많다보니 보는 눈이 커질 수 있었음

문화의 다양성 같은 경우는 해외가 좋은 듯

북미쪽이 시장이 크다

한국보다 해외쪽이 더 큰 트래픽을 만질 수 있다.